1. 영화 산업의 이해
아바타2 흥행에 이어 영화산업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화산업은 20세기 후반부터 단순한 예술의 하나의 장르가 아닌, 거대한 앤터테인먼트 산업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현재 코로나 이후 영화산업이 축소 되기는 하였지만, 이미 2010년 기준으로 전세계의 극장매출은 300억달러를 돌파를 하였으며, 점차 코로나 전으로 회복중이다.
VHS/DVD 매출은 2003년 기준, 532억 달로러 극장 매출의 2.5배에 이르고 있으며 매해 10% 내외의 성장을 보이는 영화산업 시장이다. 영화산업은 영화에만 국한되지 않고, 게임, 피규어, 굿즈, 그래픽 노블 등 다양한 분야의 매체로 퍼져나가고 있다. 특히나 게임과 소설의 영화화한 형태로 일원화되고 있다.
영화의 흥행성적은 <타이타닉>이 전세계적으로 압도적인 매출을 보였으며, 그 이후 영화 <아바타>로 제임스 카메론이 또다시 스스로의 영화 기록을 갱신하면서 흥행성적에 불이 붙었다. 현재는 전세계 흥행성적이 10억불이 넘는 영화가 30여개 이상이다. 그 중 상위권 영화로는 <반지의 제왕>, <죠스>, <스타워즈 에피소드>, <어벤저스> 같은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대부분이다.
북미는 영화시장의 1위를 차지하는데 과거 발리우드가 현재에는 영향력이 미미하며,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OTT 산업 또한 커져가는 상황이며, 우리나라 <기생충>과 같은 영어권이 아닌 나라의 영화들도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으며 널리 알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영화시장이 전세계 2위로 큰 땅덩어리 만큼이나 영화산업이 크다. <몬스터 헌트(착요기)>와 <미인어> 등의 중국 자국의 영화 흥행과 함께, 해외 흥행이 애매했던 <퍼시픽 림>, <워크래프트> 같은 해외 영화도 중국에서 큰 매출을 거둬들였다.
2. 대한민국의 영화 산업
게다가 한국 영화산업 시장은 3위를 차지하며, 대한민국에서 좋은 평을 받고, 흥행을 한다면 전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한다는 성공공식이 생겨났다. 그로인해 우리나라에서 선공개하는 해외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인터스텔라>의 한국 영화 산업에서의 흥행성공으로 인해 한국 관객들의 영화 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한국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이나 내한사계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3. 영화의 예술적 의의
영화는 영화 작가, 감독이 체험한 실재를 시작과 청각 이미지로 창작하여 구성하여 재현하는 예술 행위이다. 측, 카메라 필름, 조명, 사운드 등 과학 기술의 급진적인 발달이 가져다 준 기계공학적 표현 도구들을 이용하여, 대중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종합적 예술 장르인 것이다.
영화에서의 종합 예술이란 연극, 문학, 음악, 무용, 조각이나 미술의 재반 요소가 전체 영화를 만드는데 필요불가결한 부분적 역할을 수행하다는 것 외에도 여타의 구예술에서 독립된 새로운 예술, 즉 제7예술이라는 것을 말한다.
영화는 실제의 삶과 달리,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각기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카메라를 통해 거리감 없이 시간적 통일 내에서 하나로 인식하게 만든다. 영화적 시간은 동작의 영화적인 재현을 위해 선택하는 각기 분리된 숏들의 수와 관객의 지각력을 통해 심리적 흐름의 통일에 의해 결정된다.
영화를 제작하는데 많은 인원과 장비를 동원해야하며, 완성된 영화는 최소한의 제작비를 회수하기 위해 어느정도 흥행이 되어야한다. 이것은 영화가 예술과 대중 오락의 양면성을 동시에 지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영화의 기술적 관점
영화의 긴 필름에서 움직이는 피사체의 일정 시간마다 순서대로 촬영을 하며, 이것을 영사기를 통해 영화관 스크린에 영사를 한다. 영사된 화면을 관객들의 눈을 통해 보게 되는 것이다. 영사되는 필름의 잔상작용에 의하여 영사되는 상이 겹쳐서 보게 되며, 피사체의 운동이 연속적으로 관찰되는데, 이것이 영화이다. 고로 영화의 촬영이나 영사할 때에 필름을 어느 시간 간격을 두고 한 화면씩 내보내 노출 시간만을 정지 시켜 놓지 않으면 안된다.
5. 영화의 해상도
가정에서 사용하는 영화의 비디오 포맷인 블루레이는 1920*1080 해상도 제공되며, DVD는 720*480 해상도이다. 그리고 VHS의 경우 330*480 해상도가 제공된다. 현재 영화가 제공하는 최대 해상도는 2485*2970 또는 1420*3390이며, 앞으로 출시될 디지털 비디오 포맷인 UHD는 7680*4320해상도가 제공된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성영화의 역사와 황금기 (0) | 2022.12.28 |
---|---|
화양연화 영화와 왕가위 감독 (0) | 2022.12.28 |
영화 올빼미 평점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0) | 2022.12.23 |
밴더스내치(Bandersnatch) 인터랙티브필름 후기 (0) | 2022.12.21 |
아바타2 물의길(Avatar2) 2D 관람 만족한 후기(영화 2D 3D 가격비교) (0) | 2022.12.21 |
댓글